블로그 이미지
redkite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91)
00.SI프로젝트 산출물 (0)
00.센터 운영 문서 (0)
01.DBMS ============.. (0)
01.오라클 (117)
01.MS-SQL (15)
01.MySQL (30)
01.PostgreSql (0)
01.DB튜닝 (28)
====================.. (0)
02.SERVER ==========.. (0)
02.서버-공통 (11)
02.서버-Linux (58)
02.서버-Unix (12)
02.서버-Windows (2)
====================.. (0)
03.APPLICATION =====.. (11)
====================.. (0)
04.ETC =============.. (0)
04.보안 (5)
====================.. (0)
05.개인자료 (1)
06.캠핑관련 (0)
07.OA관련 (1)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1. 부팅시 hdb 또는 윈도우 파티션 자동 마운트하기
    mount
    하려는 device /dev/hda5 경우

    1. mount
    directory 생성 (/home/win)

    2. /etc/fstab
    다음 항목 추가

    /dev/hda5 /home/win vfat user,rw,noauto,noexec,iocharset=cp949 0 0

    3. mount /dev/hda5

    4. noauto option
    빼면 system booting 시에 마운트됨

    ====================
    user (
    일반사용자 계정으로도 mount 가능; nouser=root 허용)
    rw (
    읽기 쓰기 허용 ; ro=읽기전용)
    noexec (
    실행허용안함; exec=실행허용)
    iocharset=cp949 (
    한글 파일명을 사용하기 위해 지정)
    마지막 0 0 dump fsck 사용 옵션. (dump, fsck 하지 않음)


    /etc/fstab
    등록하는 방법에는 file system, directory, type, option, freq, pass순으로 관리자가 한줄한줄 직접 에디터 상에서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불편함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가동중에 mount 명령을 이용하여 마운트를 실행한 현상태의 마운트상태가 재부팅 시에도 유지되기를 바라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다음은 그런 경우를 위한 방법이다.

    # mv /etc/fstab /etc/fstab.old

    # mount -p > /etc/fstab

    # rm /etc/fstab.old

    mount
    명령에 -p 옵션을 주게 되면 현재의 마운트 상황을 /etc/fstab 포맷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etc/fstab 만들어주면 된다.

    /dev/dataVG/data1 /data ext3 defaults,noatime 1 2











    2. fstab
    일반

    fstab
    필드 구성 | LINUX 2005/05/26 03:51
    http://blog.naver.com/boxcj/140013292351
    /dev/hda1 /root ext3 default 1 2
    파일시스템명시 | 파일위치 | 종류 | 마운트 옵션 | 덤프인자 | 체크시퀸스 번호

    fstab
    6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1.
    파일시스템 명시 : 블럭장치나 마운트될 파일시스템을 명시한다.
    -
    파일시스템은 디바이스 명을 입력한다.

    2.
    파일위치 : 마운트하는 지점을 명시한다.

    3.
    종류: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낸다
    - dos
    - ext2
    - ext3
    - nfs
    - swap
    -vfat (
    윈도우 일반..확인요?)
    -


    4.
    마운트옵션: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옵션을 나타낸다
    - default :
    모든것
    - noquota :
    쿼터 사용안함
    - nosuid : SUID
    접근 불가능
    - quota :
    쿼터 사용
    - ro :
    읽기 가능
    - rw :
    읽기 쓰기 가능
    - suid: SUID
    접근 가능

    5.
    덤프인자 : 파일시스템이 덤프될 필요가 있는지를 설정한다.
    - 0 :
    덤프될 필요없음
    - 1 :
    덤프 필요합

    6.
    체크시퀸스 번호 : fsck 의해 수행되는 무결성 검사를 위한 파일시스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 0 :
    체크 안함
    - 1 :
    우선적으로 체크
    - 2 : 1
    번이 끝난 체크
    --------------------------------------------------------------------
    LABEL=/ / ext3 defaults 1 1
    none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LABEL=/home /home ext3 defaults 1 2
    none /proc proc defaults 0 0
    none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hda2 swap swap defaults 0 0
    /dev/cdrom /mnt/cdrom udf,iso9660 iocharset=cp949,noauto,user,exec,kudzu,ro 0 0
    --------------------------------------------------------------------

 

 

/etc/fstab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이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아래처럼 6가지 정보를 입력하는데,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항목은 또는 스페이스 등의 공백으로 구분한다.

 

1.

file system: 파일시스템이 있는 장치나 파티션. 전에는/dev/sda1 이런 방식을 쓰는데 이제는 UUID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UUID 알아내는 방법은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으로 간단히 알아낼 있다.

sudo blkid

다음과 같이 장치/파티션, UUID, 파일시스템 타입을 눈에 있다.

/dev/sda1: UUID="b3450059-0c0a-4342-a3c4-52c1871fd2b4″ TYPE="ext3″

/dev/sda2: UUID="3cf235dd-9306-42ef-83bc-fb7e1d7c612d" TYPE="ext4″

/dev/sdc3: UUID="C2D0FC6AD0FC6657″ LABEL="500Data" TYPE="ntfs"

ls -l /dev/disk/by-uuid

명령도 UUID 있지만 파일 시스템은 안나온다.

여기서는 ntfs타입인 /dev/sdc3 마운트하는 것으로 예를 들겠다.

UUID="C2D0FC6AD0FC6657″ <mount point> <type> <options>

 

<

<dump> <pass>

이제 나머지 5 값도 찾아보자.

 

2.

mount point 대상 파티션을 어디에 마운트할 것인가 경로를 지정하는 것이다. 자기가 하고싶은데에 하면 그만이지만 보통 /mnt /media 사용한다. 여기에서는 /media 이용할 것이다. 다음의 명령어로 /media 폴더로 이동한다.

cd /media

여기에 마운트 디렉토리를 만든다. sdc3파티션은 유틸리티와 드라마 등이 있으니 그냥 Data라는 이름으로 만들겠다. /media 디렉토리에 폴더를 만들기 위해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분투 사용자라면

sudo mkdir Data

, 이제 mout point /medai/Data 정해졌다.

UUID="C2D0FC6AD0FC6657″ /medai/Data <type> <options> <dump> <pass>

 

3. type

마운트하려는 파티션의 포맷 타입을 지정해준다.

ntfs 경우는 ntfs-3g, fat 경우는 vfat이다. 물론 ext3으로 포맷된 파티션이라면 ext3라고 해주면 된다.

  • auto
  • vfat – used for FAT partitions.
  • ntfs, ntfs-3g – used for ntfs partitions.
  • ext2, ext3, jfs, reiserfs, etc.
  • udf,iso9660 – for CD/DVD.swap.

파일시스템에 맞게 입력해주면 된다.

 

UUID="C2D0FC6AD0FC6657″ /medai/Data ntfs-3g <options> <dump> <pass>

 

4. options

옵션은 파일 시스템과 관련있다. defaults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 등의 속성을 갖는다.

대표적인 옵션들은 아래에 있고 많은 정보를 원하는 분은 man mount 보시면 된다.

  • sync/async – All I/O to the file system should be done (a)synchronously.
  • auto – The filesystem can be mounted automatically (at bootup, or when mount is passed the -a option). This is really unnecessary as this is the default action of mount -a anyway.
  • noauto – The filesystem will NOT be automatically mounted at startup, or when mount passed -a. You must explicitly mount the filesystem.
  • dev/nodev – Interpret/Do not interpret character or block special devices on the file system.
  • exec / noexec – Permit/Prevent the execution of binaries from the filesystem.
  • suid/nosuid – Permit/Block the operation of suid, and sgid bits.
  • ro – Mount read-only.
  • rw – Mount read-write.
  • user – Permit any user to mount the filesystem. This automatically implies noexec, nosuid,nodev unless overridden.
  • nouser – Only permit root to mount the filesystem. This is also a default setting.
  • defaults – Use default settings. Equivalent to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
  • _netdev – this is a network device, mount it after bringing up the network. Only valid with fstype nfs.

나는 rw,nosuid,nodev,allow_other 속성을 주었다.

UUID="C2D0FC6AD0FC6657″ /medai/Data ntfs-3g rw,nosuid,nodev,allow_other <dump> <pass>

5. dump

dump 백업 유틸리티인데 이걸로 백업을 하느냐 여부를 결정한다.

(우분투 9.10에는 dump 설치가 안되어 있더군;;; dump 설치하고 manpage 보니 ext2/3 filesystem backup이라고 나오는데 ext4 ntfs같은 것은 덤프를 못하는 것인가…?)

UUID="C2D0FC6AD0FC6657″ /medai/Data ntfs-3g rw,nosuid,nodev,allow_other 0 <pass>

 

6. pass

pass fsck라는 유틸리티가 파일시스템을 체크하는 순서를 지정하는 것으로

  • 0 안하는 것이고,
  • 1이면 먼저
  • 2 나중에

1 /(root) 사용하고 나머지는 2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나는 문서나 유틸리티만 모아두는 파티션은 체크를 안한다. 0으로 해주면 된다.

 

UUID="C2D0FC6AD0FC6657″ /medai/Data ntfs-3g rw,nosuid,nodev,allow_other 0 0

 

드디어 .

이제 /etc/fstab 있는 파일시스템을 모두 마운트해서 사용해보자~

Posted by redkite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